Consulting & Study Room

Jay's 칼럼

Jay's EDU Education Columns

216 - 다음 학년을 대비하는 여름 방학 활용법 1

대학입학 Road Map과 여름방학

2022년 여름방학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현재 12학년 학생들은 지난 5월 1일까지 합격한 대학들 중 다니고 싶은 대학에 입학하겠다는 통보를 마쳤습니다. 

올해의 입시 역시 COVID-19으로 인한 SAT/ACT Test Optional의 결과로 일부 학생은 원하는 이상의 성과를 거둔 반면, 일부 학생은 원하는 결과에 훨씬 못 미치는 대학에 진학하게 된 경우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최상위 대학에서는 최악의 합격률을 다시 한 번 기록하게 되었으며, 일부 중위권 중 하위권 대학은 지원 학생이 많이 줄어들어 신입생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2022년의 여름 방학

Illinois 주에서는 2021년 6월 11일을 기준으로 많은 부분에서 일상으로의 복귀가 시작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연기되거나 취소되었던 많은 학교의 일정들은 정상으로 복귀되고 있습니다. 

즉, COVID-19의 펜데믹 초기인 2020년 3월 중순부터 2021년 5월까지 대부분의 학교에서 실시되던 온라인 수업은 지난 가을학기부터 대면 수업으로 전환하였으며, 지난 가을 부터 SAT와 ACT 시험 모두 거의 정상적으로 실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2년간 정상적으로 실시되지 않았었던, Illinois 주 공립 고등학교 학생의 학력 측정 시험인 SAT /  PSAT 10 /  PSAT 8/9 역시 올해에는 정상적으로 실시되었으며, 시카고 교외의 많은 학군에서 실시하는 고등학교 배치고사인 PSAT 8/9 시험도 올해에는 정상적으로 실시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2-2021 Academic Year의 일정을 알아보고 여름방학을 이용한 대비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초등학교 - 7학년의 여름 방학

초등학교부터 8학년까지는 학력측정을 위하여 대부분의 학군과 학교에서 Standardized Test를 실시합니다. Common Core를 기초로 한 IAR Test 혹은 PARCC Test, 학생 개인의 학업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한 NWEA Map Test를 비롯하여, Star Assessment, TerraNova, ITBS - Iowa Test of Basic Skills, Stanford Achievement Test등이 있습니다.  

이전의 여러 Jay’s EDU 칼럼에서 알려드린 바와 같이 Illinois 주에서는 Common Core에 기초한 학력 측정 시험인 IAR Test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시험들은 조금씩 다른 과목과 문제 유형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대부분 수학과 영어시험은 기본적으로 주어지고 있으며, 시험에 따라서 과학과 사회과목의 시험들도 있습니다.

Chicago 교외의 학군들 중, 일부의 학군에서는 Star Assessment Test와 NWEA Map test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우수반/일반반의 수업배치에 이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특히 초등학교 5학년의 우수반 배정과 NWEA Map test 혹은 Star Assessment Test의 성적은 중학교 진학시에 우수반에 진학하는 중요한 조건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초등학교 5학년에 우수한 성적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등학교 5학년의 수업 레벨이 고등학교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에따른 대비를 여름방학기간에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등학생 수학의 대비

초등학교 5-6학년의 수학의 경우 아주 중요한 내용을 배우게 됩니다.  수학의 기초가 되는 양수 (positive)와 음수 (negative), 사칙연산의 방법등의 중요한 내용을 배우게 되는데에 반하여, 이런 수학에 적용하는 방법은 한국에서 수학을 배워오신 부모님들의 방법과 많이 다르기 때문에 부모님들께서 한국에서의 방법대로 수학공부를 시키실 경우 학생과 학교 수업사이의 갈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한인 초등학생들은 선행수업을 하게되어 학교의 수업에서 배우는 내용을 미리 알고 수업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런 경우, 학교에서 선생님들이 수업하는 내용을 학생들은 미리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많은 경우 수업에 집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tutor를 통한 선행학습은 일주일에 1-2시간이 고작이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tutor가 아닌 이상 일반적으로 중요한 concept이나 정의등을 수업하기 에는 시간이 부족하게 됩니다.  이런 방식의 선행 학습에 익숙한 학생들은 중요한 정의와 concept을 이해하지 못하고 문제를 푸는 방법에만 집중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5-6학년의 수학에서는 아주 우수한 성적을 보이다가도 7-8학년의 Algebra I에서 수학이 어려워지기 시작하면 시험 점수가 오르락 내리락 하기 시작 할 수 있으며, 수학이 조금 더 어려워 질 경우 많이 힘들어 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5-6학년의 수학수업에서는 선행을 하고 알고 있는 내용을 수업한다 하더라도 학교의 수업에 집중하고 이해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름 방학기간에는 다음 학년에 할 수학공부를 선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만, 수학을 잘 이해하고 학교 공부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여름 방학 기간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습니다.


8학년

일반적으로 8학년은 중학교의 마지막 학년으로, 고등학교에서 9학년을 시작하기 전에 고등학교에서 듣게 되는 수업의 수준을 결정하게 됩니다.  Chicago 주위의 일부 학군에서는 중학교 성적과 선생님들의 추천만으로 고등학교에서 Honor (우수반)과 Regular (일반반)을 정하게 됩니다만, 많은 학군에서는 8학년 때에 고등학교 Placement Test (배치고사)를 보게 됩니다.  

미국 대부분의 고등학교에서는, 우수반의 A 학점은 5점으로 일반반의 A 학점인 4점 보다 높아서, 우수반의 학점이 반영된 Weighted GPA는 대학에 지원하는 학생이 얼마만큼의 우수반 수업을 듣고 그 수업에서의 학점은 어떠했는지를 알려주게 되어서, 많은 우수반 수업을 수강하는 것은 최상위권의 명문대에 지원하는 중요한 기준들 중 하나입니다.  

고등학교 배치고사 PSAT 8/9

지난 몇년간 많은 한인 학생들이 공부하는 Illinois주의 많은 Chicago교외 학군에서는 PSAT 8/9를 고등학교 배치고사로 선택하고 있습니다.  이 시험의 결과와 중학교 성적, 선생님의 추천서등의 다른 기준등을 참고하여 학생들을 우수반 (honor)과 일반반 (regular)으로 나누게 됩니다.   

만일 자녀의 학군에서 placement test (배치고사)를 본다면, 일반적으로 8학년 1학기 중 (주로 10월에서 12월 중) 실시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어서, 학생들에게 8학년 첫 학기 중의 시험에 대비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치고사에 사용되는 문제들은 전반적인 학업 성취도와 이해도를 물어보도록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단기간의 준비보다는 학교 수업에 충실한 장기간의 준비가 더 많은 도움이 됩니다.  특히 PSAT 8/9의 경우 영어 독해 시험이 많이 어렵고, 상당히 높은 수준의 독해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수준의 어휘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문법 시험의 경우, 문장의 구조, punctuation (구두점)등의 어려운 문법 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에 영어 시험은 별도로 장기간의 대비가 필요합니다.   

Chicago 교외의 많은 학군들 중, 많은 한인학생이 다니고 있는 일부 고등학교의 경우 9학년에 일반반으로 진학하게 되는 경우, 이후 학년에서 우수반으로 옮기기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름 방학을 이용한 철저한 준비를통하여 고등학교에 진학할 때에 우수반으로 진학하는 것이 명문대학에 진학하기 위한 중요한 준비 과정입니다.  

대학의 학생 선발 기준

대학에서 학생을 선발하는 기준은 대외적으로 발표하는 Common Data Set에 의하면 학생을 선발하는 기준 중 Academic 부분, 즉 성적에 관한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 Rigor of secondary school record - AP 수업 혹은 Honor 수업등의 난이도가 높은 수업과 지원하는 학생의 고등학교의 수준

  • Class rank – 고등학교 석차 백분률

  • Academic GPA - 고등학교 내신성적

  • Standardized test score -  SAT/ACT등의 대학입학 시험의 점수

  • Application essay-  대학입학 지원 에세이

  • Recommendation - 추천서  

이런 세분화된 항목의 중요도를 “Very Important: 매우 중요”, “Important: 중요”, “Considered: 참고”, “Not Considered: 고려대상 아님” 등의 4가지 중요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들 기준들 중, 많은 최상위 명문 대학들이 대학 신입생을 선발하는 기준으로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 중의 하나가Rigor of secondary school record, 즉 고등학교 생활 동안 얼마나 많은 수의 도전이 되는 과목들을 수강하였고,  그과목들의 성적이 어떠하였는 가를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또한 GPA 뿐만이 아니라 고등학교 석차까지도 중요한 학생 선발 기준이 됩니다.

일부의 College consultant들은 학생이 우수반(Honor Class)에서 B를 받을 경우 A에 근접한 B인지 혹은 C에 가까운 B인지의 분석없이 무조건 일반(regular) 반으로 내릴 것을 추천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 일반반에서 A를 받는다 하더라도,  Rigor of secondary school record와Class rank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많은 명문대학의 신입생 선발기준에서는 멀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 칼럼에서는 대학의 학생 선발 기준을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여름방학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Jay’s EDU

Northbrook & eLearning

224.213.7620

www.jaysedu.com

Ji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