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 / PSAT 영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ACT와 SAT의 비교 여섯 번째입니다.
SAT를 주관하는 College Board에서는 영어독해와 영어문법을 두개의 시험으로 나누고 있습니다. 그리고 영어시험을 "Evidence-Based Reading and Writing Section" 라고 부릅니다. 이 "Reading and Writing Section"은 크게 영어 독해와 문법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Evidence-Based Reading and Writing Section (SAT 영어)
- Reading Test (영어 독해)
- Writing and Language Test (영어문법)
College Board에서 밝히는 SAT의 영어시험의 문제 구성
- Expression of Ideas – topic development, organization, rhetorical use of Language (내용파악 - 주제, 구조, 언어의 수사법)
- Standard English Conventions – Sentence structure, usage, punctuation (영어 기본 - 문장구조, 문장의 사용법, 구두법)
- Words in Context – vocabulary (어휘력)
- Command of Evidence – Graphics based questions (graph, table, charts) (그래프, 차트, 도표내용파악)
SAT 영어 독해 (SAT Reading Test)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Reading Test의 구성 - Reading & Comprehension (영어독해)
- 모든 문제는 500 ~ 750 단어의 passage (지문) 를 읽고 대답하는 방식
- 모든 문제는 객관식 4지 선다형
- 내용파악문제의 지문은 “U.S. and World Literature – 미국/세계 문학”, “History/Social Studies – 역사/사회학”. “Science – 과학” 등으로 이루어짐
- 일부의 지문은 tables, graphs, and charts – 차트/그래프/도표“ 등의 내용파악으로 이루어짐
위의 사항들이 기본적인 Reading & Comprehension (영어독해) 의 문제구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다른 기존의 영어독해 시험과 많이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전의 SAT와는 다르게 차트/그래프/도표를 읽고 이해하고 결과를 예측하는 문제가 출제되고 있습니다. 또 하나의 특이한 문제의 유형은 두개의 문제가 함께 연결된 문제입니다. 특히, 앞의 문제에서 글의 주제/내용을 물어 보고, 다음 문제에서는 어디에서 앞선 문제의 답을 찾았는지 물어봅니다. 따라서 앞선 문제의 답을 잘못 고를 경우 뒷 문제에까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이런 연결된 문제들이 학생들의 시험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SAT Reading Test (영어독해)의 시험구성
1) 한 개의 지문이 대략 9 ~ 11 문제로 구성이 되어있고
2) 약 5개의 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 한 개의 U.S. and World Literature – 미국/세계 문학 지문
- 한 개 내지 두 개의 미국/세계 중요 역사관련 지문
- 한 개의 사회학 관련 (경제/사회/심리학등) 지문
- 두 개의 과학 (지구과학, 생물, 화학, 물리학등)의 지문
3) 각 지문의 문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 작가의 의도를 물어보는 질문과 함께 내용파악 문제
- 작가가 작가의 의도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구체적인 사례 파악문제
- 이전 문제의 정답을 지문 내에서 어디서 찾았는지를 물어보는 문제 (locate the evidence)
- 지문의 내용, style 파악문제
- Vocabulary (단어/어휘) 수준은 일반적인 대학생활에서 사용가능한 수준
- Vocabulary 문제 다양한 부분 (과학/역사/사회학등)에서 출제가 되나, 문장/지문에서 의미가유추 가능하도록 출제
- 과학문제는 Examine hypotheses (과학적 가설 검증), 지문의 Data 파악, 과학적 가설의 적용등의 문제가 출제된다고 하나, 대부분 차트/그래프/도표 파악문제가 주로 출제됨
SAT의 영어 독해 문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영어독해 시험과 많이 다르지는 않지만, College Board에서 주장하듯이 Evidence Base (증거에 따른) 독해 문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ACT와는 다르게 직독직해 - 바로 읽고 문제를 파악하고 답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독해의 지문 뿐만 아니라 문제의 각 단어들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서, 문제를 읽고 문제의 의도를 파악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다음에는 SAT Reading (SAT 영어독해)의 준비 / 대비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