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ulting & Study Room

Jay's 칼럼

Jay's EDU Education Columns

140 - COVID-19 사태와 2020 대입 스케줄 28 - 대학지원을 위한 안내 2

(제목에서 칼럼의 횟수와 순번의 오차가 있어 정정하였습니다. 이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번 주에는 지난 주의 칼럼에 이어 “대학 지원 안내” 두 번째 안내입니다.

  • Extracurricular "Activity"

  • Common Application Essay와

이 두가지의 내용이 application에서 어떻게 연결되어야 하는 지 알아보았습니다.

 

101620-1.jpg

지난 주 칼럼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지금은 12학년 학생들은 EA/ED와 Regular: 정시전형의 대학 지원을 잘 마무리 하고 현재 11학년 (Junior)들이 내년 입시 준비를 시작해야 할 시간입니다.  미국의 약 800여개의 대학은 Common App을 이용한 지원을 받고 있는데, 이 Common App을 통하여, 혹은 다른 대학 지원 양식을 통하여 대학에 지원할 때에 가장 중요하고 신경을 써야 할 부분 중의 하나는 Application Essay(에세이)와 Extracurricular "Activity" (활동) 부분입니다.

특히 일부 대학에서는 ‘학생이 속한 커뮤니티’ 혹은 ‘대학지원서에 중 충분히 설명 못한 부분’등으로 학생의 extracurricular와 활동에 대하여 알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일부 학생들의 에세이는 Extracurricular와 전혀 연결이 안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많은 경우 학생들은 extracurricular와 에세이를 좋은 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기회를 놓치고 있습니다.

Extracurricular "Activity"

Common App중 Activity 부분에서 많은 학부모님들과 학생들이 고민을 하게 됩니다.  어떤 학생은 너무나 많은 activity 가 있어서 제한된 Activity 부분에 어떤 것을 넣고 어떤 것을 뺄지 고민하게 되고, 어떤 학생은 activity가 얼마 되지 않아서 Common App의 10개 Activity를 어떻게 채울지 고민하게 됩니다.

Common App의 Activity는 최대 10개의 활동을 기입할 수 있습니다.  각 Activity의 섹션은 과외 활동의 중요도에 따라 Activity 1 부터 10까지 나누고, 그 활동을 어느 정도의 기간동안 하였는지 기입하여야 합니다. 또한 각 활동에 대하여 150단어로 설명하여야 합니다.  일부 학생들은 이  Activity 를 소개하는 짧은 에세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Admission Officers(대학 입학 사정관)에게는 지원하는 학생들의 성격과 특기사항, 학업 수행능력등을 알아볼 수 있는 부분이어서 중요하며, 입학 사정관들은 지원자의  에세이(Application Essay)도 함께 읽기 때문에, 이 Activity의 짧은 소개가 에세이(Application Essay)와 너무 다르거나 문법적인 오류가 많을 경우 지원자의 review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전 미 수준(national level)에서 상을 받거나 혹은 아주 뛰어난 결과를 내지 못한 activity여도, 학생의 좋은 인성 형성과 미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활동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Common App에 쓰는 activity와 Application Essay(에세이)의 내용에 관련이 있도록 Activity와 에세이의 내용을 선택하는 것이 좋고, Common App에 사용하는 Activity를 고를때에는 전략적으로 접근하며, 에세이 내용과 효과적으로 균형을 이룰 수 있어야 합니다.  더 나아가, Counselor 나 선생님의 추천서와 인터뷰등의 내용과 동일한 주제를 다룬다면, 더 효과적인 Activity의 선택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반면, 각 대학에서 여름방학을 통해 주최하는 캠프들 중 수업료를 지불하는 다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대학입시에서 합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지 않습니다.  즉, 아무리 최상위 대학에서 하는 Summer Program 이더라도 일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들은 학생들의 extracurricular로 지원서에 기재를 하더라도  합격/불합격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요인으로는 상당히 부족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최상위 대학에서 주최하는 Summer Program에 참가하고자 하는 경우는 신중히 결정하여야 하겠습니다.

또한, 학생의 GPA혹은 학과 성적과 너무 동떨어진 extracurricular activity는 입학 사정관들의 의심을 살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들어, 수학 성적이 일반적이거나 다른 우수 학생들에 비해 모자라는 학생이, 수학 경시대회에 참가하여 참가 상을 받은 경우는 입학사정관들의 의심을 사게 되며, 이런 경우 다른 extracurricular의 진위까지 의심을 받을 수 있게 되기 때문에 extracurricular의 기입에 신중하여야 하겠습니다.

 

Common Application Essay

매년 여름방학이 시작하기 전에Common App에서는 에세이 주제 (Essay Prompt)를 발표합니다. 

Common App을 통한 지원을 받는 많은 대학들에서는 학생들에게 Common App에서 제시된 주제 (Essay Prompt)중 하나 혹은 두개의 주제를 선택하여 일정한 길이의 에세이를 제출할 것을 요구 합니다.  이와 더불어, 일부 명문대학에서는 common App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Common App의 에세이 주제가 아닌 다른 추가 주제(Supplemental  에세이)를 제시/요구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런 이유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 별로 에세이 주제와 길이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합니다.   최근 대부분의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약 10- 20여개의 대학에 지원하는 현재의 추세에 따르면,  적게는 10여개에서 많게는 30-40개의 에세이를 써야 하는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Common Application 에서 요구하는 에세이 주제는 학생이 처했던 어려운 난관에 대하여 물어보고 어떻게 극복 하였는지를 물어보는 주제가 많습니다.  이러한 주제에 맞추어 에세이를 쓸 때, 학생의 개인적이고 일반적이지 않은 특별한 이야기를 정리하여 쓰되, 그런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배웠고, 그 배운 점을 앞으로 어떻게 사용하는지 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Common App의 에세이는 미래 지향적이고 진취적이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많은 학생들이 공유하는 평범한 주제이더라도, 그 주제 안에서 자신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자신의 장점을 보여 줄 수 있는 에세이여야 하며, 문장의 구성과 문법적인 면에서 완벽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최상위 대학의 입학사정관들은 한 명당 일년에 약 600여개의 지원서를 분석하여 합격/불합격을 결정하며, 100위권대의 대학의 입학사정관들은 약 1200여개에서 1600여개의  지원서를 받고 분석한다고 합니다.  개개인의 입학 사정관들은 매년 수 많은 에세이를 읽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입학 사정관들은 평범하고 일반적인 주제를 다룬 에세이, 너무 과장이 많은 에세이, 사실과 다른 에세이, 학생이 아닌 전문가들이 작성한 에세이등은 걸러낼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또한 이런 에세이들은 실제 입학 사정에서 대부분 걸러내어 지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학생들간에 의견을 나누며 작성되는 에세이, 대규모 에세이 지도반에서 작성되는 에세이나, 혹은 경험이 많지 않은 사람들의 지도에 의해서 작성되는 에세이들은 이전에 사용되었던 진부한 주제, 이에 따른 틀에 박힌 에세이가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하더라도, 에세이는 최대한 학생의 개인적인 성향과 진취적 장점을 잘 표현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Jay’s EDU

Northbrook & eLearning

www.jaysedu.com

224.213.7620

Jin Lee